광고
광고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정부·국회·지자체(정책·법안·토론회)
박주현 의원, 아프리카돼지열병 초동검역 강화.. 곳곳에 '낙제점'
박주현 의원 "해외여행객들이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탑승권 후면 홍보' 검증했어야" "ASF 발생지점에서 정밀판정 위해 300km 이동...초동방역 위한 체계 재정비 필요"
기사입력: 2019/10/18 [10:23]   월드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김용숙 기자

 최근 인천 강화군에서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추가 확진됨에 따라 국내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은 총 9건이 발생됐다.

 

ASF 감염 원인 중 하나인 불법휴대축산물이 국내 공항과 항만에서 2019년 상반기만 5만7천여 건 적발된 가운데 당국이 국내 입국하는 해외여행객을 대상으로 한 ASF 예방 홍보가 부족했다는 지적과 ASF 진단이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져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민주평화당 박주현 국회의원이 농림축산식품부에서 받은 '국경검역 홍보 내역 및 소요 예산' 자료를 분석한 결과 2천9백만 원 예산이 투입되는 국제선 항공기 내 탑승권 후면광고를 시행하게 되어 있는데도 실제 항공사 탑승권 뒷면에 ASF 홍보가 없었다. 또 항공기 내부에도 ASF 예방 광고를 충분히 이행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이 2018년 발생된 중국의 국경 검역 강화 홍보와는 철저히 대비되는 모습이다.  

 

농축산부 자료에 따르면 중국은 공항 전광판에 검역 홍보 메시지를 띄울 뿐만 아니라 탑승권 발권 시 검역 홍보 인쇄물을 스티커로 부착해 홍보 내용을 직관적으로 인지하도록 캠페인을 시행 중이었다.

 

▲ 중국 탑승권 발권시 인쇄물 활용 홍보(자료: 농림축산식품부)  © 김용숙 기자

▲ 아시아나 항공권 후면. 탑승권 발권시 검역 홍보 인쇄물 부착 여부. 탑승권 발권 관련사항(발권 문구 등)은 항공사 소관(자료: 한국공항공사)  © 김용숙 기자

 

이는 농축산부가 ASF 발생국 및 인접국 주재공관을 통해 각 국가의 공항공사, 항공사 등에 한국 입국 시 유의사항이 홍보되도록 외교부에 협조를 요청해 각 주재공관에서 한인회·공항공사·항공사 등 유관기관 협력한 결과 ASF 검역 홍보를 진행한 것이다.

 

반면, 한국이 공항 및 항만에서 시행하는 입출국자 대상 국경검역 홍보 현황을 살펴보면 △월 1~2회 국경검역 홍보 캠페인 △공항·항만 내 다국어 홍보 배너 비치 △전광판 등 영상·송출 기기를 활용한 아프리카돼지열병관련 홍보 △공항공사와 협조하에 안내방송 시행 △탑승권 발권카운터에 ASF 관련 안내문 비치 등을 진행하고 있지만, 가장 중요한 홍보인 국제선 항공기 탑승권 후면광고는 하지 않았다. 한국공항공사에 확인한 결과 탑승권 발권 시 검역 홍보 인쇄물 부착은 개별 항공사 소관으로 현재까지 탑승권 후면에 광고가 시행된 것은 없었다.

 

▲ 박주현 국회의원  © 월드스타

 박주현 의원은 "한국과 달리 중국에서 시행 중인 탑승권 후면에 스티커를 붙이는 것은 일방적인 안내방송과 배치된 일반 홍보물과 달리 해외여행객들이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홍보 방법"이라며 "당국은 국토부와 외교부를 통해 실제로 탑승권 후면홍보가 이루어지는지를 확인하고 점검했어야 한다"라고 지적했다.

 

추가로 박 의원은 "축산가공품을 휴대하고 들어오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지에 대한 홍보가 부족했고 2018년 축산가공품을 반입하다가 적발된 건수가 무려 48%나 증가한 것은 주변국으로부터의 전염위험을 그만큼 증가시킨 것이다"라고 덧붙였다.

 

한편 ASF 정밀검사 기관은 경북 김천시에 있는 농림축산검역본부가 유일한 정밀진단 시설을 갖추고 있어 ASF 초동대처가 어렵다는 지적도 나왔다.

 

10월 17일 연천군에서 발생한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경우 경기도 동물위생시험소에 신고가 접수되어 1시간 후 가축방역관이 현장에 도착했고 정밀검사를 위한 시료를 채취한 뒤 300km가 넘는 경북 김천 소재 농림축산식품검역본부로 이동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 경기 연천군 ASF 의심사례 발생 이후 확진까지 이동경로  © 김용숙 기자

 

박주현 의원은 "ASF 확산을 방지하기 위해 초동방역이 긴급하게 들어가야 하는데, 정밀검사를 진행하는 곳은 우리나라에 단 한 곳뿐"이라며 "시료 채취 후 그간 육상으로 이동했지만, 최근 헬기를 동원해 시간이 단축되었다 하더라도 '양성' 일지도 모르는 병원균이 타지역으로 이동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다"라며 "지자체별 정밀검사를 실시할 수 있도록 인프라가 구축되어야 함은 물론이고 ASF 신속 진단과 판단을 위해 장기적으로 간이 진단 키트 개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용숙 기자 wsnews@daum.net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광고
광고
광고
광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