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광고
필자의 다른기사 보기 인쇄하기 메일로 보내기 글자 크게 글자 작게
정부·국회·지자체(정책·법안·토론회)
김수민 의원 "문화콘텐츠산업 업계 종사자 70%, 사업자 52%가 서울·경기에 몰려"
김수민 의원 "범정부 차원 문화 균형 발전 방안 마련해야"
기사입력: 2019/09/16 [09:45]   월드스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톡
김용숙 기자

 서울·경기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문화콘텐츠산업 양극화가 심각한 수준으로 확인됨에 따라 범정부 차원에서 문화 균형 발전 방안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 '콘텐츠산업 지역별 매출액 현황'(자료: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단위:백만원,%  © 월드스타

 

 국회 문화체육관광위원회 소속 바른미래당 김수민 국회의원(사진)이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으로부터 받은 국정감사 자료 '2013년~2017년까지 5년간 콘텐츠 산업 지역별 매출액 현황'을 보면, 2017년도 전국 콘텐츠산업 매출액은 전년도 대비 6.7% 증가한 113조2,165억 원이었다.

음악, 영화, 방송, 광고, 만화, 출판, 캐릭터 등 문화콘텐츠 사업의 전국매출액에서 서울은 64.1%, 경기도는 20.9%로 약 85%를 차지했다. 콘텐츠 사업체 60% 이상이 서울·경기도에 집중됐고 업계 종사자도 서울이 51.4%, 경기도가 20.7%를 차지해 관련 분야 근로자의 70% 이상이 몰렸다. 이에 문화양극화가 경제양극화로 이어지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나온다.  

지역별로는 서울이 72조4천억 원의 매출을 올려 전국 매출의 64%를, 경기도가 23조6천억 원의 매출을 올려 20.9%를 차지했다. 서울·경기에서만 전체 매출의 85%를 차지한 것이다. 이에 반해 비수도권 지역의 문화콘텐츠산업 매출액은 미미했다.

전남이 전체매출 대비 0.4%로 최하위였고 강원이 전체 매출 대비 0.5%, 충북과 충남도 각각 0.8%에 불과했다.

이렇게 서울·경기와 그 밖의 지역의 문화콘텐츠산업 매출액 차이가 크게 나는 것은 사업체가 서울 경기에 몰려있기 때문이다.

문체부와 콘진원이 제출한 '문화콘텐츠 산업 지역별 사업체 수 현황' 자료를 보면, 서울의 경우 출판, 만화, 음악, 게임, 영화, 애니, 방송, 캐릭터, 지식정보, 콘텐츠솔루션 등 콘텐츠사업체 수가 34,440개로 전체의 32.7%를, 경기도는 2만307개로 19.3%를 차지했다.

▲ '콘텐츠산업 지역별 사업체 수 현황'(자료: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단위: 개  © 월드스타


사업체 수는 제주도가 가장 적었다. 1천45개 사업체가 있는 제주도는 전체의 1%를 차지했다. 전북과 전남이 각각 2.8%와 2.5%, 충북과 충남이 2.7%와 3%를 차지했다.

▲ '콘텐츠산업 지역별 종사자 현황'(자료: 문화체육관광부, 한국콘텐츠진흥원), 단위: 명  © 월드스타


종사자 수 역시 서울 경기에 몰려있었다. '콘텐츠산업 지역별 종사자 현황'을 보면 서울에서 31만4천 명 전국 대비 51.4%가, 경기도에 12만5천 명 20.6%가 근무 중이다. 반면, 제주도에는 4,439명(0.7%)이, 전남 6,608명(1.1%), 충북이 8,333명(1.4%)의 콘텐츠 산업 종사자들이 일하고 있었다.

김수민 의원은 "4차산업혁명시대 우리나라 먹거리 산업 분야가 문화콘텐츠인데, 서울과 경기도에만 과도하게 집중되어 있어 지방과의 문화 양극화가 경제 양극화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라며 "범정부 차원의 중장기 문화균형발전 방안을 신속하게 수립해서 대응에 나서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김용숙 기자 wsnews@daum.net

이 기사에 대한 독자의견 의견쓰기 전체의견보기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는 글, 욕설을 사용하는 등 타인의 명예를 훼손하는 글은 관리자에 의해 예고없이 임의 삭제될 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닉네임 패스워드 도배방지 숫자 입력
제 목
내 용
광고
광고
광고
광고